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최근 검색어

위생청결

여름철 조심해야 할 식중독균 3가지

#식중독 #예방법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균 #캠필로박터균

음식점 식중독 이렇게 예방하세요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여름이 다가왔습니다. 여름철에는 높은 기온뿐만 아니라 집중호우로 인한 하수·하천 범람으로 식재료가 식중독균에 오염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여름철 주의해야 하는 식중독균 3가지와 예방법을 알아봤습니다.


🥩 병원성 대장균

✔️ 버거 전문점 등 소고기 분쇄육을 사용하는 가게



사람이나 동물의 대장에 서식하며
식중독 독소를 생성하는 대장균으로
감염됐을 경우 복통과 설사를 유발합니다.

오염된 채소와 동물성 식재료
충분히 익히지 않고 먹었을 때 감염되는데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을 조사한 결과
38%는 채소류, 11%는 육류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육류 중에서는 소고기로 인한 대장균이 많았습니다.


📌 이렇게 예방해주세요


✔️ 햄버거 가게 등 소고기 분쇄육을 사용하는 가게라면 육류를 75℃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해 속까지 익혀주세요. 열에 약한 병원성 대장균은 60℃ 이상으로 가열 시 멸균됩니다.

✔️ 고기의 핏물이 다른 식재료를 교차 오염하지 않도록 칼과 도마 등 주방도구는 분리해 사용해주세요. 육류를 해동할 때는 핏물이 떨어지지 않게 주의해주세요.

✔️ 육류를 비롯한 식재료를 다룰 때는 맨손이 아닌 일회용 장갑을 꼭 착용해주세요.

✔️ 세척한 채소를 실온 방치하면 세척 전보다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세척한 식재료는 바로 섭취하거나 냉장 보관해주세요.


🥚 살모넬라균

✔️ 김밥 전문점, 베이커리 등 달걀을 사용하는 가게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알가공품이나
오염된 육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그중 특히 달걀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2023년 식약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 > 집단급식소 > 개인 활동 및 행사 순으로
음식점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2021년에는 한 김밥 가게에서 김밥을 먹은 고객들이
집단으로 식중독 증상을 보인 사례도 있었습니다.
조사 결과 도마와 식자재 보관통 등에서
살모넬라 균이 검출됐는데요.

김밥, 케이크 등 달걀을 사용한 음식을
다루는 가게라면 아래 사항을 유의해주세요.

📌 이렇게 예방해주세요


✔️​ 껍질이 깨지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주세요.
✔️​ 달걀을 비롯한 식재료는 신선한 제품을 구입해주세요.
✔️​ 생닭, 달걀은 5℃ 이하에서 냉장 보관해주세요.
✔️ ​생닭, 달걀을 만진 후에는 손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씻어주세요.
​✔️ 달걀을 대량 조리하는 경우 조리 후 밀폐용기에 소분해 냉장 보관하고 필요한 양만큼 덜어 사용해주세요.



🍗 캠필로박터균

✔️ 치킨, 닭갈비, 삼계탕 등을 판매하는 생닭을 다루는 가게




여름철 몸보신을 위해 삼계탕을 찾는 고객이 많은데요.
생닭을 사용하는 가게라면 캠필로박터균을 주의해주세요.

캠필로박터균은 가금류 내장에 있는 식중독 원인균으로
생닭을 세척·손질하는 과정에서 균이 다른 곳으로 튀거나
닭을 제대로 익히지 않고 섭취했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치킨, 닭갈비, 삼계탕 생닭을 다루는 가게라면
아래 사항을 주의해주세요.

📌 이렇게 예방해주세요


✔️ ​닭을 조리할 때는 70℃ 이상에서 1분 이상 조리해주세요.
✔️​​ 구입한 닭을 옮길 때는 아이스박스나 아이스팩을 이용해주세요.
✔️​​ 생닭을 보관할 때는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제일 아래 칸에 보관해주세요.
✔️​​ 교차 오염 방지를 위해 생닭을 손질하기 전 채소류를 먼저 다듬어 준비해주세요.
​✔️ ​실온에 두는 걸 방지하기 위해 식자재 마트에서 닭을 구입한다면 마지막 순서로 구입해주세요.



게티이미지뱅크



🚨 식중독 의심 신고 대처 방법


만약 고객이 식중독 의심 신고를 한다면
감염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 식중독 의심 신고 고객에게 확인해주세요


✔️ ​​식당에서 식사한 영수증을 보유하고 있나요?
✔️ ​식당에서 음식을 드신 시간 이외에 언제 식사를 했나요?
✔️​​​ 식당에서 드신 음식 이외에 무엇을 드셨나요?
✔️​​​ 구토나 복통 증상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 우리 매장에서 함께 식사한 다른 가족이나 동행도 비슷한 식중독 증상이 있나요?


음식점 음식 외에 다른 요인으로 식중독이 발생할 수도 있기에
먼저 사실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법적으로는 입증에 대한 책임은
항의를 제기한 고객에게 있습니다.
가급적 고객에게 먼저 설명을 요청해주세요.


🚨 식중독 피해 발생 시 대처 방법


사장님 가게에서 음식을 드신 고객에게
식중독이 발생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부터
응급실을 가거나 입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요.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식품으로 상해가 발생한 경우
병원 치료비와 식사 비용 환불, 식중독으로 인해 중단된 수입 등을
위자료 지급을 통해 합의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적정한 위자료를 합의한 후  보험 처리를 통해
피해 고객에게 지급할 수 있습니다. 

🧼 여름철 음식점 위생 관리 방법을 알아보세요


👉 제빙기 청소, 이것만은 알아두세요
👉 음식점 식중독 발생 시 사장님의 대처법은?
👉 식재료 ‘곰팡이’ 도려내고 써도 될까요?
👉 여름철 음식점 위생 관리팁 6가지
👉 다가오는 여름, 식중독 이렇게 예방하세요



식약처의 식중독 예방요령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식약처 여름철 식중독 주의

클릭해서 자세한 내용 더 보기









사장님, 이번 콘텐츠 어떠셨나요?

카카오쳇
입점신청